본문 바로가기
IT, 컴퓨터

도스(DOS, Disk Operation System)에 대해서...

by 별찌파파 2023. 11. 17.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응형

 

 

Windows에 기본 내장된 DOS, 하지만 특별한 일이 아니면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컴퓨터를 조금 하신 분이라면 도스(DOS)를 모르시는 분이 없으실 겁니다. 제가 처음 DOS를 접해본 것은 컴퓨터를 처음 만졌을 때입니다. 물론 당시에는 DOS를 이용할 수 없는 오래된 PC도 존재했었습니다. 왜냐하면 교체가 좀처럼 쉽지 않은 고가였기 때문에 DOS를 사용하는 PC도 제법 많았습니다. 제가 처음 PC를 접한 것은 1980년대 후반으로 제가 초등학생(당시 국민학생) 때였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인 저는 처음 DOS를 쉽게 배울 수 있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프로그래밍이나 게임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부팅을 해야 하고 명령어를 실행해야 했기 때문에 활용하는데 오래 걸리진 않았습니다. 또한 Disk Copy, Format 등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DOS가 아주 유용했습니다. 오늘은 DO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명령어 뒤에 /? 만 입력해도 자세한 설명이 한글로 표시됩니다.

 

DOS(Disk Operating System)는 주로 IBM PC와 호환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되었던 운영 체제의 한 종류입니다. 초기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 MS-DOS(Microsoft Disk Operating System)가 가장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아래는 DOS에 대한 주요 특징과 개념들에 대한 개요입니다.

  1. 초기 컴퓨터 운영 체제:
    • DOS는 초기에는 주로 명령줄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CLI)를 사용했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흔해지기 전에는 주요한 운영 체제로 사용되었습니다.
  2. 인터프리터 운영 체제:
    • DOS는 주로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동작했습니다. 즉,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컴퓨터는 즉시 해당 명령을 실행했습니다.
  3.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 DOS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했습니다. DIR 명령어를 통해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을 볼 수 있고, COPY, DEL, REN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복사, 삭제, 이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디스크 관리:
    • DOS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도 제공했습니다. FORMAT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를 형식화하고, CHKDSK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5. 시스템 구성 및 설정:
    • 사용자는 CONFIG.SYS와 AUTOEXEC.BAT이라는 설정 파일을 통해 시스템의 부팅 및 구성을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이 파일들은 시스템 부팅 시에 실행되는 명령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6. 네트워크 및 기타 유틸리티:
    • DOS는 네트워크 명령어(NET 시리즈)를 비롯한 다양한 유틸리티를 제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호스트에 대한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7. 한계와 진화:
    • DOS는 초기 컴퓨터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영 체제가 발전하면서 GUI와 멀티태스킹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로 대체되었습니다.

현재의 개인용 컴퓨터 운영 체제들은 DOS보다 훨씬 더 발전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DOS는 주로 컴퓨터 역사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Photo by Fernando Lavin on Unsplash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