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컴퓨터

무선인터넷(WIFI)의 역사에 대해서

by 별찌파파 2023. 11. 13.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응형

 

Photo by Compare Fibre Unsplash

 

집에 무선인터넷 공유기는 모두 하나씩 가지고 계실 겁니다.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개를 가지고 계신 분들도 있으실 테고요. 저는 2000년 이후 군대를 다녀온 다음에 노트북을 구매하면서 처음으로 무선 인터넷을 접했습니다. 당시에는 무선 인터넷 공유기가 상당히 고가였기 때문에 노트북의 WIFI 보다도 LAN 선을 꽂아서 사용한 적이 훨씬 많았습니다. 어느 순간 무선 공유기가 저렴해지면서 여러 곳에 많이 보급이 되었고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무선 공유기는 엄청난 속도로 보급이 되었습니다. 요즘에는 무선 인터넷이 잡히지 않는 곳을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가 되었습니다. 지금 저희 집에는 WIFI-6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6 Ghz의 대역을 자랑합니다. 사실 이 정도의 속도라면 부족한 점이 전혀 없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다 X소라는 잡화점에 가면 무려 150 Mbps의 무선 송수신기를 5천 원의 가격에 판매하고 있어서 LAN 선을 구축하기 힘든 환경에서는 간단하게 무선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무선인터넷의 발전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hoto by Markus Spiske Unsplash

 

Wi-Fi(와이파이)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를 구성하고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로,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Wi-Fi의 역사는 아래와 같이 개발과 표준화, 발전이 진행되어왔습니다.

  1. 1997년: 첫 번째 Wi-Fi 표준 (802.11):
    • Wi-Fi의 역사는 1997년에 첫 번째 표준인 IEEE 802.11이 나오면서 시작됐습니다.
    • 초기의 Wi-Fi는 2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했으며, 주로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사용되었습니다.
  2. 1999년: Wi-Fi Alliance의 설립:
    • Wi-Fi의 인기 상승과 함께, 1999년에는 Wi-Fi Alliance가 설립되었습니다. 이는 다양한 제조사 간의 상호 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비영리 단체입니다.
  3. 2002년: Wi-Fi의 보급화:
    • 2002년에 IEEE 802.11b 표준이 나오면서 Wi-Fi의 보급화가 시작되었습니다.
    • 이 표준은 최대 11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했고, 기업 및 가정용으로 무선 인터넷이 보다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4. 2003년: IEEE 802.11g 표준:
    • 2003년에는 IEEE 802.11g 표준이 나와서 최대 54 Mbps의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5. 2007년: IEEE 802.11n 표준:
    • 2007년에는 IEEE 802.11n 표준이 나왔습니다. 이는 높은 속도와 더 긴 전송 범위를 제공하며, 다중 안테나(MIMO)를 지원하여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6. 2012년 이후: IEEE 802.11ac 및 802.11ax 표준:
    • 2012년에는 IEEE 802.11ac 표준이 나왔으며, 이는 더 높은 전송 속도와 대역폭을 제공했습니다.
    • 2019년에는 IEEE 802.11ax 표준이 나와서 더 높은 성능과 더 많은 장치와의 동시 연결을 지원합니다.
  7. 현재: Wi-Fi 6E 및 미래 전망:
    • 현재는 Wi-Fi 6E라는 새로운 표준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6GHz 대역폭을 사용하여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무선 환경의 혼잡을 줄이고 안정성을 향상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Wi-Fi는 이러한 연구, 발전, 표준화를 통해 점차적으로 높은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며, 현재는 거의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hoto by Dreamlike Street Unsplash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