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넷플릭스 계정 분리에 따른 요금 증가? 무조건 올리지는 않는다?

by 별찌파파 2023. 11. 3.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Photo by Giordano Rossoni on Unplash

 

넷플릭스 계정 분리 제한?

 

넷플릭스는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넷플릭스 계정의 이용 대상은 회원 본인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 즉 한 가구의 구성원 이라며 계정 공유 방침을 공지했습니다. 그리고 이후 공유 회원들에게는 이메일을 보내서 안내하며, 같은 가구에 살지 않는 이용자가 계정에 접근할 경우 안내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순차적인 제한을 한다고 했습니다.

 

제한 방법은?

 

같은 가정에 살고 있는지 여부는 개인 정보 취급 방침에 따른 IP 주소와 접속 전자기기의 ID, 계정 활동 등의 정보 활용을 통해서 확인한다고 했는데요. 이런 부분이 어떻게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지 의문이긴 합니다. 한 가족이지만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무제한 요금제의 핸드폰을 이용한다면 거주하는 사람이라고 판단하기 쉽지 않을 듯합니다.

이미 넷플릭스는 올해부터 캐나다, 뉴질랜드, 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서 계정 공유 제한을 시작했으며, 4월에 100여 개 국가로 확대했습니다. 이후 11월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 등 한국을 포함한 넷플릭스가 진출한 대부분 국가에서 공유 제한이 도입됩니다.

 

상승되는 가격은?

 

그렇다면 이제부터 얼마를 내야 하는가? 넷플릭스에서는 아직까지 추가 회원에 대한 세부적인 조항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이미 적용된 국가를 참고해 본다면 무조건 가구 외 이용자에 대해서 과금하지는 않으며, 프리미엄 계정의 경우에는 최대 2개, 스탠다드 계정은 1개에 대해서 가구 외 이용자를 추가할 수는 있습니다. 즉, 지금 구독 중인 계정이 스탠다드이거나 프리미엄이라면 무조건 요금이 오르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베이직이거나 광고형 스탠다드라면 가구 외 계정당 5천 원이 오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계정 등급을 프리미엄이나 스탠다드로 올리거나 기존 계정에 요금을 추가하는 방식이 있으므로 선택의 폭은 넓은 것으로 보입니다. 

요금제 가격 가구외 계정 허용 개수
광고형 스탠다드 월 5,500원 0개, 추가시 계정당 5천원 상승
베이직 월 9,500원 0개, 추가시 계정당 5천원 상승
스탠다드 월13,500원 1개 허용
프리미엄 월17,000원 2개 허용

* 기존 적용한 국가 기준으로 작성된 표이므로 정확한 정보는 아님을 밝힙니다.

 

구독자들의 반응은?

 

하지만 구독자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한계정에 여러 가구가 보는 상황이 있으니 업계에서는 정상적인 구독을 위해서 무임승차를 없애기 위함이니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있고, 구독의 자유를 억압하고 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수익을 올리기 위함이라며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프리미엄을 구독하고 있으며 지인이나 가족 외에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있지는 않아 이번 정책이 문제가 되지는 않아서 깊게 생각해보진 않았지만,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입장에서는 비정상적으로 구독하는 행위를 막는 부분에 대해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한국인들 중 가족이 많고 이 가족들이 따로 사시는 경우라면 손해 보시는 분들이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런 경우에는 넷플릭스에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서 손해보시는 분들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